여성 생식기암 가운데
자궁경부암 다음으로
발생빈도가 높은 암
전 연령층에서 발생할 수 있으나 50~70세 사이에 제일 많이
발생합니다.
자궁경부암 다음으로
발생빈도가 높은 암
난소에 생긴 악성 종양
난소암은 난소에 생긴 악성종양을 말합니다.
난소암 초기에는 증상이 거의 없고, 1기 등 초기에 진단되는 경우는 정기적인 산부인과 진찰을 받으러 왔다가 내진이나 초음파 검사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난소암 초기에 하복부에 덩어리가 만져지는데, 덩어리가 촉진된 경우는 이미 다른 장기로 전이된
상태입니다. 또, 모든 난소암의 경우 50%이상이 반대편 난소에도 전이됩니다.
난소가 복막까지 파급된 경우 복수를 동반하기도 합니다.
난소암의 원인은 밝혀지지 않아
전체 여성 암 중 약 2~3%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난소 악성 종양 (난소암)은 다른 암처럼 원인이 알려져 있지는 않습니다.
난소암의 진단
- 초음파 검사 : 난소암 검진 초기에 종양의 유무를 알아내는데 유용한 검사입니다.
- 혈액검사(CA125) : 난소암이 발생하기 쉬운 고위험군에서 종양 발생시 CA 125 라고 하는 종양 표지 물질이 증가하므로 혈액검사를 병행하기도 합니다.
- 복강경 검사 : 복강경 검사는 검사와 동시에 양성 종양의 경우 치료를 동시에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보편화되고 있습니다.
- 이 밖에도 CT, MRI 등도 암의 전이 여부를 확인하는데 이용됩니다.
치료는 수술과 항암제 투여
난소암의 기본적 치료방법은 수술로 가능한 모든 종양을 제거하고 항암제를 투여하는 것입니다.
- 난소암은 조기에 발견될 경우 완치가 가능합니다.
- 난소암의 경우 다른 암보다 비교적 항암제가 잘 듣기 때문에 적절한 치료를 받는다면 상당 기간 생명을 연장시킬 수 있습니다.
치료방법 | 특징 |
---|---|
수술요법 |
|
항암제요법 |
|
난소암 가족력이 있는 여성은 정기적 검진 필수!
- 난소암은 가족력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므로 어머니나 자매가 난소암을 앓은 여성은 30대부터 정기적으로 검진을 받아 보는 것이 좋습니다.
- 식생활에 있어서는 가급적 지방질의 섭취를 피하고 채식, 그 중에서도 난소암 예방에 도움이 되는 당근이나 녹색 야채를 많이 드시기 바랍니다.